https://indistract.tistory.com/8
컴퓨터 통신의 역사1
Network Core & Network Edge Network Core와 Edge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Edge는 우리가 친숙하게 접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따위의 단말 기계를 의미한다. Core는 네트워크 중앙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indistract.tistory.com
앞선 글에서 살펴봤지만, 컴퓨터 통신은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Dial-up Modem)으로부터 시작해서, DSL, 케이블 모뎀을 이용해서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이까지 나열한것은 컴퓨터'만'을 위한 망을 구축한것이 아니라, 기존의 망을 이용해서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 형태이다. 광케이블의 등장과 함께 컴퓨터만을 위한 케이블이 구축된다. 현재는 모든 망 자체가 구리에서 광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다.
광케이블 이외에도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망이 있다. 바로 와이파이와 이더넷(Ethernet)이다. 와이파이는 공기를 통해 통신한다. 와이파이는 Giga bps 전송률까지 가능하다고 홍보하지만, 공유하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체감되는 전송률이 달라진다. 무선의 형태는 점유가 불가능한 형태이며, 서로가 서로의 잡음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더넷은 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선 인터넷 연결 형태라고 생각하면된다. 이더넷은 전용선으로 Giga bps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와이파이보다 빠르다.
통신선의 종류
통신선로는 크게 3가지가 존재한다. 구리선, 광섬유, 그리고 무선(공기)이다. 먼저 구리선의 예시로는 전화선과 Ethernet, 그리고 케이블 tv선이 있다. 구리선은 일반 pair, twisted pair, 동축선이 존재하는데, 나열한 순서대로 가격은 점점 높아지고 전송률도 점점 높아지는 순서이다. 따라서 상황에 맞는 구리선의 형태를 채택하는것이 옳다.
광섬유는 단위 전송률의 가성비가 가장 높다. 즉, 특정 거리를 특정 bps로 보내는 돈이 가장 저렴하다. 그러나, 가성비가 좋다고 모든 선로를 광섬유로 구성하는것은 비효율적이다. 짧은 거리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bps를 사용하는것이 더 비용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광케이블은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잡음에 강하며, 한번 설치하면 반영구적인 형태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충격이 일어나지 않는 장소에 설치해야한다는 까다로운 설치조건이 있다.
마지막으로 무선은 잡음이 엄청 많다. 그리고 공유 채널이기 때문에, 두 장비가 무선으로 통신하게 된다면 통신을 독점할 수 없다. 때문에, 실제로 광고하는 전송률에 비해서 체감하는 전송률은 삭감되는 편이다.
3G vs. LTE
LTE는 단순히 3G에서 속도가 개선된 형태가 아니다. 3G는 음성에 최적화 된 반면, LTE는 데이터에 최적화 되어있다. LTE는 통화를 사용하더라도, 음성을 데이터 위에 싣는 형태로 음성을 전송한다. 이전에는 이동전화에 쓰던 망들이 지금에서는 데이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의미이다.
음성정보 vs. 데이터 정보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과 데이터 방식을 전달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전자는 Circuit Switcing이 적합하고, 후자는 Packet Switching이 적합하다.
1) Circuit Switching
Circuit Switching은 시작과 끝이 명시적으로 구분된다. 전화를 떠올려보면, 전화 연결은 전화를 거는 시점과 끊는 시점이 명확하게 존재한다. 그래서 전화는 시작부터 끝까지 특정 선로 자원을 점유(독점)하게 된다. 때문에, 자원을 할당 받은 상태에서, 자원을 꾸준하게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선로는 자동으로 결정된다. Circute은 선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이 높으며, 과금은 보통 시간단위로 이루어진다.
2) Packet Switching
Packet Switching은 시작과 끝이 모호하다. Circuit Switching처럼 자원을 미리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인터넷에서는 자원을 미리 할당하는 방식은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인터넷은 동시에 여러 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구글도 쓰고, 네이버도 쓰고, 심지어는 다음도 쓸수 있다. 그래서 인터넷 통신은 필요한 요청을하고 응답을 받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음성 정보처럼 많은 양의 데이터를 꾸준하게 사용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특정 자원을 계속 할당하는 것은 사치이기 때문이다. 필요한 요청을하고 응답을 받는 Packet Switching은 우편 시스템과 유사한 형태이다. 통신을 위해서 선로를 연결할 필요가 없고, 우편을 전달하는데 의의를 둔다. Packet은 패킷(데이터량)당 요금이 부과되며 초기화 비용이 낮다.
앞으로 Computer Network를 배운다는것은, Packet Switching으로 어떻게 Network를 꾸리는지에 대해 배우는 과정이 될것이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계층 개요 (0) | 2022.12.28 |
---|---|
[네트워크] 네트워크 품질 (0) | 2022.12.28 |
[네트워크] 컴퓨터 통신의 역사3 (1) | 2022.12.22 |
[네트워크] 컴퓨터 통신의 역사1 (0) | 2022.12.18 |
[네트워크] 네트워크 역사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