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websites work?
호스트 서버가 존재하고, client가 서버를 찾는다. client가 서버를 찾고,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찾으려면 IP adress가 필요하다. 이 과정은 주소를 알아야 편지를 쓰는것과 마찬가지이다.

Sever를 구성하는 것?
계산을 하고 결과를 찾는 CPU와, 기억을 저장하는 Memory, 파일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DATA BASE, 그리고 Network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클라우드에서는 이 모든것을 On-Demand로 제공한다.
Network, Router, and Switch
네트워크는 서로 연결되어있는 케이블, 라우터 그리고 서버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라우터에 보내면 라우터는 스위치에 도달하는 방법을 찾고, 스위치는 어떤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낼지 파악한다. Router는 패킷을 인터넷의 어디로 보내야하는지 알고 있으며, Switch는 패킷을 정확한 Client에 전송한다.

Problems with traditional IT approach
초기에는 Infrastructure가 필요하면 서버를 사서 집에 직접 설치해야 했다 (구글도 처음에 차고에서 시작). 웹사이트가 점점 커지게 되면 더 많은 서비스가 필요로하는데, 그렇게되면 서버를 위한 물리적인 공간을 점점더 필요로 한다. 그런 이유로, Home or Garage에서 서버를 구축했다가, 회사 내에 서버를 위한 별도의 공간으로 확장하게 된다. 이런 방식의 문제점은 peak-time 기준으로 서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블랙 프라이데이같은 이벤트 때는 트래픽이 폭증했다가, 그 외의 시간에는 잉여 자원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비용, 서버 유지/보수 비용, 서버를 주문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유연하지 않은 확장, 천재지변에 대한 취약성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Could이다.
Coul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다른 여러 IT 자원들을 On-demand 방식으로 사용하는 컨셉이다. 즉, 이 모든 것을 필요할때마다 얻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요청한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고, 정확히 필요한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구매할 수 있으며, 미리 주문하지 않아도 몇초이내로 사용할수 있고, 쉽게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이제는 자체 데이터 센터를 만드는 대신 Cloud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이다.
5가지 특징
1. On-demand self service:
인간의 개입 없이 즉시 자원을 사용 가능
2. Broad network access:
자원들이 netwrk를 통해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접속 가능
3. Multi-tenancy and resource pooling:
고객이 클라우드의 전체 데이터 센터를 공유하며, 보안이 확보
4. Rapid elasticity and scalability:
쉽게 확장 가능하며, 자동으로 자원을 필요한만큼 조절하게 할 수도 있다.
5. Measured service:
정확히 사용한만큼만 지불
Type of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서비스를 얼마만큼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세 종류로 구분 가능하다.
1. Iaas (Infarastructur as a Service):
네트워킹, 컴퓨터, 데이터 저장공간등을 제공하며, 가장 높은 수준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traditional on-premise IT와 병행해서 이용하기 용이하다. EC2가 하나의 예시이다.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지며, 배포와 어플리케이션 관리에 집중할수 있게 도와주는 형태이다.
3. Saas (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 제공업체가 완전히 운영하고 관리하는 형태이다. Gmail이나, Dropbox, Zoom이 예시이다.
REGION
AWS는 전 세계적으로 Region을 소유하고있으며, Region은 데이터 센터의 집합이다. 대부분의 AWS service는 region-scoped이다. region에 따라 지연속도가 다르고, 적용되는 법률이 다르고, 사용가능한 서비스도 다르고, 심지어 요금마저 다르기 때문에, 각 상황에 맞게 region을 선택하는것이 중요하다.
또한, 주의해야할 점은 하나의 region에서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다가 다른 region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새로운 지역에서는 해당 서비스가 처음 이용하는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AWS Avaiability Zones
하나의 Region안에는 여러개의 Availability Zone이 분산되어 존재한다. 보통 3개를 가지며, 최소 2개 최대 6개까지 소유한다. AZ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로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하나의 Region안에 여러 개의 AZ가 있는 이유는 재난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재난에 의해 하나의 AZ가 불능상태가 되더라도, 다른 AZ에서 여전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WS Points of Presence (Edge Locations)
Amazon은 200개가 넘는 전송지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연 시간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42개의 국가에서 84개 도시에 전송지점이 존재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3 (0) | 2022.12.22 |
---|---|
[AWS] Elastic Load Balancing & Auto Scaling Groups (0) | 2022.12.20 |
[AWS] EC2 Instance Storage (0) | 2022.12.17 |
[AWS] EC2 (0) | 2022.12.13 |
[AWS] IAM (0) | 2022.12.13 |